오늘은 저번에 알아보기로 했던 '로그의 레벨 단계'에 대해 알아보자! 저번에 말한 것 같이 로그의 레벨 단계에는 아래와 같이 6가지로 볼 수 있다.trace -> debug -> info -> warn -> error -> fatal무조건 이렇게 5가지의 레벨만 있는 것은 아니다.하지만 자주 사용되고 사용하는 레벨은 이렇게 6가지의 레벨이라고 생각한다. 개발을 하면서 발생하는 이벤트나 메시지의 심각성 또는 중요성에 따라어떠한 레벨의 로그를 사용해야 하는지 달라진다.어떤 경우에 어떠한 로그의 레벨을 사용하면 좋은지 한번 알아보자! 1. TRACE디버그 레벨이 너무 광범위 한 것을 해결하기 위해 Log4j 1.2.12 에서 신규 추가된 레벨이다.디버깅 목적으로 사용되는 로그 레벨이다.DEBUG 레벨보다 조금..
로그 또는 로깅이라는 단어를 개발하면서 한번쯤 들어보거나 log.error("==ERROR==")와 같은 코드를 보았던 적이 있을 것이다. (나 또한 마찬가지이다.)그저 System.out.print 와 다를바 없이 코드의 흐름을 파악할 때 사용하는 용도 중 하나라고만 막연하게 생각했다. 로그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로그와 로깅 이 두가지를 혼동하는 나를 위해 그리고 나와 같이 혼동하고 있을 또 다른 개발자분들을 위해 오늘은 로그가 무엇인지 로깅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아보자. 로그란?- 운영체제나 소프트웨어가 실행되어 돌아가는 중에 발생되는 이벤트 및 메시지가 기록된 데이터 그 자체를 의미한다. 로깅이란?- 이런 '로그' 데이터를 기록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다른 말로 이벤트 및 메시지가 기록된 '로그'를 생..
>> 깃 오류 메시지Working tree contains unstaged changes. Aborting. >> 이슈 발생git flow feature track [feature이름] 명령어 사용하여 브랜치 변경할 때, 에러가 발생 >> 이슈 원인브랜치 변경 시, 현재 브랜치에 변경된 코드나 파일이 없는 상태에서 브랜치를 변경해야 하는데 변경된 코드/파일이 있기 때문에 발생 >> 해결 방법변경된 코드나 파일이 없는 상태로 만든 후 브랜치를 변경해야 한다.1) 커밋을 한다. 2) git stash 명령어를 사용하여 변경사항을 저장 후 초기화 상태로 만든다. → 참고 : https://maro5397.tistory.com/59
디자인 패턴 정의디자인 패턴 (Design Pattern)이란,소프트웨어 공학의 소프트웨어 디자인에서 특정 문맥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재사용 가능한 해결책이다. 디자인 패턴 요약 설명디자인 패턴에는 23가지 패턴이 있는데 이것을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구분Creational Pattern(생성 패턴)Structural Pattern(구조 패턴)Behavioral Pattern(행위 패턴)의미객체의 생성 방식을 결정하는패턴Object를 조직화 하는 데유용한 패턴Object의 행위를 Organize, Manage, Combine 하는 데 사용되는 패턴범위클래스Factory MethodAdapter(class)Interpreter,Template Method객체Abstract Factor..